닫기
닫기

논문투고 규정

home학회지논문투고 규정

한국방언학회 논문투고 규정

∎ 투고 시 유의 사항
  • 1. 학회지 ≪방언학≫은 1년에 2회(6월 30일, 12월 31일) 정기적으로 발행하며 6월 30일에 발행하는 경우는 4월 30일까지, 12월 31일에 발행하는 경우는 10월 31일까지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http://dialect.jams.or.kr)을 이용하여 논문을 투고해 주십시오.
  • 2. 투고 시에는 한국방언학회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하고 학회의 승인을 받은 후 연구윤리서약 및 저작권 활용 동의서에 동의해야 합니다. 저작재산권 행사에 관한 권리 일체도 한국방언학회에 이양해야 합니다. 또한, 온라인 논문 투고 시스템의 문헌 유사도 검사 서비스를 이용하여 투고 논문의 문헌 유사도를 검사한 후 검사 결과 확인서를 학회 전자우편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 3. 투고 논문 파일에서 필자와 관련된 정보는 모두 삭제해 주십시오.
  • 4. 원고의 분량은 도표 등을 모두 포함하여 200자 원고지 150매를 넘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 5. 심사료 및 게재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심사료 - 30,000원
    • ※ 박사 수료 이하 대학원생 투고자의 심사료를 면제한다.
    • ◦ 게재료 - 연구비를 받은 논문: 250,000원
      - 연구비를 받지 않은 논문: 100,000원
    • ※ 학회지 최종 편집에 의거 25쪽을 초과할 경우 1쪽당 10,000원씩 추가
  • 6. 투고 논문은 방언학과 관련된 이론 및 조사 연구 논문으로서 투고 이전에 출판된 사실이 없는 것이어야 합니다.

∎ 논문 작성 방법

※ 주의: 투고하시는 원고 파일에는 필자의 모든 개인 정보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어야 함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의: 게재가 결정된 논문은 투고자의 수정을 거쳐 가능하면 교정을 보지 않고 그대로 인쇄할 예정이니 필자들께서는 원고에 오자나 탈자가 없도록 각별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1. 작성 도구: 컴퓨터를 이용하여 <글 2005> 이상으로 작성한다.
  • 2. 사용 언어: 한국어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외국어도 편집위원회의 승인이 있는 경우 예외적으로 허용한다. 이 경우 상세한 국문 초록을 논문에 첨부하여야 한다.
  • 3. 논문의 체재
    • 1) 논문은 “제목-필자명-국문초록-주제어-본문-참고문헌-영문 초록-영문 주제어” 순으로 작성한다.
    • 2) 논문 제목의 길이는 가급적 2행을 넘지 않도록 한다.
    • 3) 필자와 소속을 명시한다.
    • 4) 논문 초록 작성 요령
      • * 국문 초록: 본문과 같은 언어로 작성하며, 핵심어를 포함하여 150 단어 내외로 작성한다.
      • * 영문 초록(Abstract): 본문이 한국어이면 영어로, 본문이 외국어이면 한국어로 작성하며, 제목과 필자명 및 핵심어를 포함하여 150 단어 내외로 작성한다. 필자명과 소속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작성한다.

        [보기]

        Hong Gildong (Hanguk University)

      • * 핵심어(Key words): 5개 내외의 핵심어를 국문과 영문으로 제시한다.
  • 4. 논문 작성 양식은 다음과 같다.
    • 1) 편집 용지 설정
      • * 용지 종류: 사용자 정의. 폭 153㎜, 길이 225㎜
      • * 용지 방향: 좁게, 한 쪽 제책
      • * 용지 여백- 위쪽: 20, 아래쪽: 20, 왼쪽: 24, 오른쪽: 24, 머리말: 14, 꼬리말: 0, 제본: 0.
    • 2) 글자 모양
      • * 글꼴- 한글: 신명조, 영문: 신명조, 한자: 신명조
      • * 크기- 제목: 13, 장제목: 10.5, 절제목: 10.2, 본문: 10.2, 예문: 9.5, 각주: 8.2, 참고문헌: 9.5.
      • * 장평: 90, 자간: 0.
    • 3) 본문 문단 모양: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 4) 쪽번호 매기기: 제목 앞에 (가운데, 아래, 줄표 넣기) 설정
  • 5. 목차의 제목에 붙이는 번호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작성한다.

    [보기]

    1.  1.1.  1.1.1.  1.1.1.1.

  • 6. 국어를 로마자화할 때는 2000년 문화관광부 고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다(단, 특별한 목적이 있을 때에는 Yale system과 같은 다른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사용하는 표기법을 명시하고 일관성을 지키도록 한다).
  • 7. 주석에서 참조주는 가능한 한 내각주로 처리하고 내용주만 외각주로 처리한다.
    • [참조주 보기]
      중부 방언에서 음장을 가진 중위모음이 고모음으로 상승하는 변화를 이미 보았거니와(곽충구 1995:6), 동남 방언권의 경북 지역어에는 음장과 무관하게 ‘ㅔ>ㅣ’ 변화가 활발하다(최명옥 1982:36-37).
    • [내용주 보기]
      ‘ㅓ:>ㅡ: , ㅔ:>ㅣ:’는1) 중부 방언권에서 볼 수 있지만 ‘ㅗ:>ㅜ:’는 중부 방언권에서도 충남의 서부에서 현저하고 ....... ....... ....... ....... ....... ....... ....... ....... ....... ....... ....... ....... ........ ....... ....... ............ (본문 마지막 줄) ............................ 다.
    • 고모음으로 상승하는 현상은 19세기 후기부터 있었던 일이다. 현대국어에서 장모음 /ㅓ/가 고모음 /ㅡ/로 상승한 지역은 중부 방언권과 서남 방언권의 전북 지역이다.
      • ※ 각주 번호의 위치
        • 동남2)과 동북 지방3)은 (×) 동남과2) 동북 지방은3) (○)
        • 설명하고 있고4), 다른 (×) 설명하고 있고,4) 다른 (○)
  • 8. 출전을 밝히기 위한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띄어쓰기 및 ‘-’표 주의)
    • [보기]
    • ㄱ. 홍길동(1981:78) (저자, 출판 연도, 인용 면 표시의 경우)
    • ㄴ. (김길동 1981:78-80) (내각주인 경우, ‘김길동’ 뒤에 ','를 사용하지 않는다.)
    • ㄷ. ≪釋譜詳節 6:3a≫, ≪月印千江之曲 上:8b≫(출전 표시의 경우)
    • ㄹ. <用字例> (책의 장 제목이나 논문인 경우)
  • 9. 참고문헌은 본문에 인용된 것만을 싣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다음에 제시된 양식과 같게 한다. 특히 논문의 경우, 수록된 면수를 명시한다. 참고문헌은 반드시 논문 끝에 싣되, 국어, 동양 언어, 서양 언어, 기타 언어의 순으로 기입하고, 각 언어의 자모순(alphabetical order)으로 배열한다. ‘참고문헌’을 작성할 때 국문이나 한문으로 쓰인 ‘논문(학위논문 포함)’은 < >로 표시하고 ‘저서’는 ≪ ≫로 표시한다. 로마자로 된 ‘논문’은 “ ”로 표시하고 ‘저서’는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 [보기]
    • 곽충구(2002), <방언연구사>, ≪국어국문학회 50년≫, 국어국문학회 편, 태학사, pp. 423-480.
    • 이기갑(1998), <전남 방언의 상대높임법>, ≪한글≫ 240∙241, pp. 355-396. [이병근∙곽충구 편(1998)에 재수록]
    • 이병근∙곽충구 편(1998), ≪方言(國語學講座 6)≫, 태학사.
    • 이정복(1992), <경어법 사용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하동 지역의 한 언어공동체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서울대).
    • 최명옥(2003), <中國延邊地域의 韓國語 硏究>, ≪한국문화≫ 25,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pp. 17-62.
    • 최명옥(2005), <국어방언학의 체계>, ≪방언학≫ 1, 한국방언학회, pp. 35-72.
    • Anderson, S. R.(1982), “Where’s morphology”, Linguistic Inquiry 13, pp. 571- 612.
    • Ladefoged, P. and I. Maddieson(1996),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Oxford: Blackwell.
    • [인터넷 자료 작성법]
    • Feenberg, A. (1999a), Sociolinguistic technology? Retrieved May 16, 2003, from the World Wide Web: http : //www-rohan.sdsu.edu/faculty/ feenberg/peer4.html.
  • 10. 표나 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항상 표나 그림의 아래에 표기하되, 되도록 가운데 배열한다.

    [보기]

    평서문∙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해체 -어/아 ≪-야≫ -으라우 ≪-자우≫
    해요체 -어/아요 -이요 ≪-야요≫ -으라우요 ≪-자우요≫

    <표 5> 해체∙해요체 어미

  • 11. 여러 연구를 괄호 안에 나열하는 경우는 발표 연도 순으로 작성한다.
    • [보기] 기존 연구들(최전승 1986, 이병근∙박경래 1988, 이기갑 외 1998)에 따르면 ……
  • 12. 논문의 최종본 마지막 페이지에 필자의 이름과 소속과 직위, 주소, 전자우편 주소를 명기한다. 소속과 직위별 표시는 다음을 원칙으로 한다.
    대상  표시할 사항 
    대학 소속 대학 소속 교수(전임/비전임)  성명/ 00대학/교수 
    대학 소속 강사  성명/ 00대학/강사 
    대학 소속 학생  성명/ 00대학/석사과정/수료, 박사과정/수료
    대학 소속 박사후연구원  성명/ 00대학/박사후 연구원 
    초중등 학교 소속  초중등학교 소속 학생  성명/ 00학교/학생 
    초중등학교 소속 교사  성명/ 00학교/교사 
    기타  소속/직위가 없는 경우  성명 
맨위로
닫기

전체메뉴

(41566) 대학광역시 북구 대학로 80 경북대학교 대학원동 110-1호

TEL : 053-950-5107 |E-MAIL : koreadialect@daum.net